
알림마당
Daegu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
Daegu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
주간 국내 발생 신규환자 전주 대비 20.3% 감소(10.20.) 2021.10.20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주간 국내 발생 신규환자 전주 대비 20.3% 감소(10.20.)
□ 최근 1주간(’21.10.10.~10.16.)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,562.3명(국내 발생 10,936명)으로 전주(일평균 1,960.9명) 대비 20.3%(398.6명) 감소하여, 수도권‧비수도권 모두 점진적으로 유행규모가 줄어들고 있다.
○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1.215.6명(전체 환자 수 8,509명)으로, 전주(일평균 1,479.0명) 대비 17.8% 감소하였다.
○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346.7명(전체 환자 수 2,427명) 발생하여 전주(일평균 481.9명) 대비 28.1% 감소하였다.
○ 주간 감염재생산지수(Rt)는 전국 0.86으로 2주 연속 1미만을 유지하고 있으며, 수도권은 0.90, 비수도권은 0.83이었다.
* 전국 Rt : 1.04(9월4주) → 1.20(9월5주) → 0.89(10월1주) → 0.86(10월2주)
○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18.0명(총 126명)으로 전주 대비(25.7명) 30% 감소하였다.
*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
○ (연령군) 모든 연령군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나, 60대 이상 연령군은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이 18% 이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.
- 학령기 연령군은 13~15세 연령군을 제외한 모든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다.
<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(10.16. 0시 기준) >
* (인구 10만 명당 발생률) = (확진자수)/(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, ‘20.12월 기준) × 100,000(명)
○ (감염경로) 가족·지인·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‘확진자 접촉’(48.4%, 5,356명) 및 ‘조사 중 비율’(38.3%, 4,235명)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. * 확진자 접촉 비중 :(9월4주) 44.4%(6,376명)→ (9월5주) 49.8%(8,777명) → (10월1주) 46.6%(6,487명) → (10월2주) 48.4%(5,356명)
< 최근 4주간 감염경로*(’21.9.19.~10.16.)>
□ (위중증·사망)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368명(전주 364명), 사망자는 84명(전주 56명)으로 전주 대비 증가하였다.
*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:(9월5주) 324명→(10월1주) 361명 →(10월2주) 368명
* 주간 사망 환자 수 : (9월5주) 63명 → (10월1주) 56명 → (10월2주) 84명
* 즉시가용 중환자실 :(9월5주) 518개→(10월1주) 462개→(10월2주) 504개
○ (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) 10월 2주 위중증 환자 수는 60대 이상에서 238명(64.7%), 다음으로 40~50대가 100명(27.2%), 30대 이하가 30명(8.1%)이었다.
○ (연령군별 사망자 수) 10월 2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75명(89.3%)으로 가장 많았고, 40~50대가 9명(10.7%)이었다.
- 위중증 및 사망자는 3,557명(2.12%)이었으며, 미접종자 79.4%(2,824명/3,557명), 1차 접종자 17.5%(624명), 접종완료자 3.06%(109명)이었다.
- 60세 미만에서는 미접종자 91.0%(1,600명/1,758명), 1차 접종자 8.42%(148명), 접종완료자 0.57%(10명)이였으며, 60세 이상에서는 미접종자 68.0%(1,224명/1,799명), 1차 접종자는 26.5%(476명), 접종완료자는 5.5%(99명)이었다.
□ (외국인현황) 외국인 발생 비중은 20.9%(2,281명)로 2주 연속 20%대를 유지하고 있다.
<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>
□ (인구이동량)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기준점 대비 9.1% 높은 수준으로, 전주(9.4%) 대비 0.3%p 감소하였다(10.11. 기준).
<이동평균 관련 그림 붙임 참고>
* 인구이동량 이동평균: 구글 인구이동량 중 소매 및 여가시설(식당, 카페, 쇼핑센터, 놀이공원, 박물관, 도서관, 영화관과 같은 일상생활 장소)에 대한 7일 이동 평균
○ 최근 외국인 확진자는 수도권에서 60%이상 집중 발생하였으며, 의료기관에서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중 60대 이상 연령대가 증가되었다.
○ (거리두기 완화로 추가확산 위험) 10월 1주 이후 확진자가 다소 감소하였으나, 9월말부터 시작된 이동량 증가 영향 누적과 사적모임 인원 제한 완화 등으로 인한 재확산 위험이 여전히 있으며,
- 특히, 수도권은 여전히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고 주간 일평균 발생률 10명(4단계 기준 2.5배) 초과 시군구도 다수로 불안 요소가 상존해 있다.
* (10월2주) 경기 동두천시(11.8명), 안산시 단원구(12.8명), 서울 구로구(15.2명), 서울 중구(18.1명)
○ (미접종군으로부터 유행 우려 지속) 50세 이상 고위험군 약 148만 명을 포함한 천만 이상의 미접종군이 남아있는 바, 거리두기 완화 시 미접종자로부터 유행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.
- 따라서, 방역당국은 미접종자의 접종율을 높이기 위해 예방접종 효과와 이상반응에 대한 체계적 분석·안내를 지속할 것이다.
○ (학생관련 방역대응 강화) 등교 확대 이후 교내 유행이 증가하다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,
* 10.3.∼10.16. 동안 초·중·고 학생관련 집단감염 14건 / 222명 발생하는 등 감염 위험 상존
- 수능(11.18.)을 약 한달 앞둔 시점에서 수능 대비 특별팀 운영을 통해 학교 주변에 대한 집중 방역을 진행하고, 12-17세 예방 접종을 대비한 예방 접종 부작용 발생 대응체계를 마련할 것이다.
○ (외국인 확진자 증가 위험) 최근 외국인 확진자는 수도권에서 60%이상 집중 발생하고 있으며, 핼러윈데이 등을 맞아 외국인이 많이 모이는 지역 중심으로 유행ㆍ확산이 우려된다.
- 이에, 방역당국은 10월말까지 젊은 층 외국인 주요 출입 지역에 대해 관계부처, 지자체와 협조하여 적극적인 점검 및 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.
○ (60세이상 위중증ㆍ사망자 증가) 최근 의료기관에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중 60대 이상 연령대가 증가하였다.
* 60대 이상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: 9월3주 166명 → 10월2주 238명
** 60대 이상 사망자 : 9월3주 27명 → 10월2주 75명
- 이는 유행 장기화에 따른 노출 기회 증가와 예방 접종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접종효과 감소가 원인으로 판단되어 추가 예방접종이 필요한 상황인 바, 방역당국은 추가 접종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.
* 60대 이상 접종자 예방접종효과: 96.5% (4.3.~8.14) → 80.9%(4.3.~10.3) / ▲16.4%
○ 방역당국은 최근 확진자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, 거리두기 완화로 인하여 추가 확산의 위험은 여전히 있는 만큼, 방역수칙 준수와 마스크 착용, 손 씻기 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켜주시기를 당부하였다.
○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감시 강화를 위해 분석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, 최근 1주일간 변이바이러스 분석률*은28.5%(국내 27.6%, 해외 93.2%)이다.
* 분석률 = 기간 내 변이바이러스 분석건수 / 기간 내 확진자수
- 최근 1주 국내감염 사례의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100.0%로 전주 대비 0.2% 증가하였고, 모두 델타형 변이로 확인되었다. (10.16. 0시 기준)
* (델타변이) 국내 99.8%(10월1주) → 100.0%(10월2주) 해외유입 97.1%(10월1주) → 97.8%(10월2주)
【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(10.16. 기준) 】
- 추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3,383건으로, ‘20년 12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43,054건*이다.
* 총 43,054건(+3,383): 알파형 3,293명(+1), 베타형 151명(+1), 감마형 27명(+1), 델타형 39,583명(+3,380)
- 이 중, 138건은 해외유입 사례, 3,245건은 국내감염 사례였다.
○ 누적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국내 접종완료자 2,317만 4,126명 중 0.073%(73.2명/10만 접종자)에 해당하는 16,972명*으로(10월 10일 기준),
* (4월) 2명, (5월) 7명, (6월) 116명, (7월) 1,180명, (8월) 2,764명, (9월) 8,911명, (10월) 3,992명
- (연령대별) 30대가 0.140%(140.3명/10만 접종자)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.
- (백신종류별) 얀센 백신 접종자 중 발생률은 0.244%(243.5명/10만 접종자),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.050%(49.9명/10만 접종자),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중 0.085%(84.5명/10만 접종자), 모더나 백신 접종자 중 0.006%(5.5명/10만 접종자) 순이며, 교차접종자* 중 발생률은 0.062%(61.5명/10만 접종자)이었다.
* 교차접종자: 1차 접종과 2차 접종에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대상자
【백신종류별/연령대별 10만 접종자당 돌파감염발생률 그림 붙임 참고】
- (중증화) 돌파감염 추정사례 중 위중증자는 253명, 사망자는 65명이었다.
- (변이현황) 변이바이러스 분석을 완료한 3,425명 중 93.3%(3,196명)에서 주요변이(델타형 3,163명, 알파형 30명, 감마형 2명, 베타형 1명)가 확인되었다.
<별첨> 1.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* [10.20.보도참고자료]+주간+국내+발생+신규환자+전주+대비+20.3%+감소.hwp (10.3 Mbyte) download: 2371 * [10.20.보도참고자료]+주간+국내+발생+신규환자+전주+대비+20.3%+감소.pdf (7.21 Mbyte) download: 1099 * (별첨)+코로나19+관련+홍보자료+16종(7.28.기준).hwp (7.9 Mbyte) download: 1
|